목록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3기 (39)
Ssoon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G6qi/btsJJYcmsUR/cKgNGZk5ilnIU14HRGsnn1/img.png)
CloudNet@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3기✅ 구성 정보목적지(backend) 파드(Pod) 생성 정보cat 3pod.yamlapiVersion: v1kind: Podmetadata: name: webpod1 labels: #Pod에 대한 레이블을 지정합니다. 특정 Pod을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. app: webpodspec: nodeName: myk8s-worker #Pod가 배포될 노드의 이름 containers: - name: container image: traefik/whoami terminationGracePeriodSeconds: 0 #Pod가 종료될 때 바로 종료---apiVersion: v1kind: Podmetadata: name: we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jQ0f/btsJLjbdl8H/bULnN2zgn8IlfPbJSrN9KK/img.png)
CloudNet@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3기✅ 기본 구성 정보 확인현재 k8s 클러스터에서 레이블에 mynode 가 포함된 노드 정보를 확인합니다.(⎈|kind-myk8s:N/A) root@kind:~# kubectl get nodes -o jsonpath="{.items[*].metadata.labels}" | jq | grep mynode "mynode": "control-plane", "mynode": "worker1" "mynode": "worker2" "mynode": "worker3"현재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들의 이름과 IP 주소를 확인합니다.(⎈|kind-myk8s:N/A) root@kind:~# docker ps -q | xargs docker i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72R1R/btsJCWGLzZF/QydHwVDGUn9RLBDR24mmYK/img.png)
CloudNet@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3기✅ Direct 모드[ k8s-m ](⎈|SsoonLab:N/A) root@k8s-m:~# calicoctl get ippool -o wideNAME CIDR NAT IPIPMODE VXLANMODE DISABLED DISABLEBGPEXPORT SELECTORdefault-ipv4-ippool 172.16.0.0/16 true Always Never false false all() [ k8s-m ](⎈|SsoonLab:N/A) root@k8s-m:~# calicoctl get ippool default-ip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6xrNv/btsJCzSc80J/2v54gRGS1nNGQ67lI9lIGk/img.png)
CloudNet@ 가시다님이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스터디 3기✅Pod 배포 전 기본 상태 확인🧿 Node 간 BGP 로 Pod 대역 정보 전파 확인[ k8s-m ]route | head -2: IP 라우팅 테이블의 헤더를 보여줍니다.route -n | grep tunl0: tunl0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라우팅 정보를 보여줍니다. tunl0 인터페이스를 통해 172.16.34.0, 172.16.158.0, 172.16.184.0 네트워크로의 패킷이 전달됩니다.(⎈|SsoonLab:N/A) root@k8s-m:~# route | head -2 ; route -n | grep tunl0Kernel IP routing tableDestination Gateway Gen..